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참여예산 사업추진현황

선정된 사업들의 추진 현황과 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 임의선택된 20개 사업만 보여집니다. 사업명 또는 제안자명으로 검색바랍니다.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약자와의 동행 3분과 시민 안전교육 강화 "어린이 안전체험관이 안전하지 않다! 어린이 안전체험관을 다시 안전하게!" 영·유아나 장애인이 안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서울시 소재 송파안전체험교육관이 안전하지 않음. 교육관 4층 항공안전관 체험 시 낙후된 의자로 인해 불안감 조성은 물론 교육받는 사람들의 안전까지 침해하는 문제 발생. 첫째, 의자 레자. 인조가죽의 수명은 2~4년 정도임. 교체되지 않고 벗겨진 의자 가죽으로 바지에 가루가 묻어 나올 정도임. 체험 시 손이 입으로 많이 가는 어린아이들의 특성상 레자가루 섭취 불안 발생. 둘째, 의자 등받이. ‘착석주의’ 표시로 의자 착석 시 불안감 증대. 의자 등받이가 심하게 덜렁거려 좌석에 앉은 사람이나 그 뒤에 앉는 사람의 불안감 증대. 의자 교체를 교육관 측에 여러 번 건의하였으나, 예산 불충분으로 교체 어려움 확인. 아동교육기관, 장애인 복지기관에서 편하게 방문하여 안전에 대해 교육도 받고 체험하는 교육의 장에서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낙후시설을 방치하는 것은 문제라고 판단됨. 시민의 교육 받을 권리 보장과 교육 공간의 안정성 증대 및 안전 문화가 꽃 피우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본 사업을 제안하는 바임. 김O연 22,000천원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약자와의 동행 2분과 지역 특화형-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마음안심 버스” 사업(회복동행버스) 1) 지역사회의 중독예방 서비스의 필요성 증대 -지역적 특성으로 볼 때 노원구의 경우 서울의 25개 자치구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가 가장 많은 구이며, 만 0~18세 인구 비율이 노원구 전체 인구수의 14.9%로 높은 편으로 중독에 취약한 사회경제적 위기군 및 정서적 취약군이 많이 거주하고 있음.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의하면 ‘22년 진행된 지역주민 및 직원 대상 보건의료서비스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 중요한 건강문제로 ‘정신건강’, 중요한 대상은 ‘어르신과 독거 주민’을 최우선으로 선택하였음. 또한 생애 주기별로 아동?청소년은 ‘중독관리’, 성인 및 취약계층은 ‘정신건강관리’의 중점 추진을 요구하는 등 성인 및 청소년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요구도가 높음. -재발률이 높은 중독 질환의 특성상 선제적 예방 및 지역사회 내의 조기발굴 및 개입이 필요함. 2) 유관기관과의 협력 및 시민 의식 제고를 통한 사회 안전망 기반 확충 -정신건강 유관기관 및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중독예방을 위한 사업의 홍보 및 사업 수행을통한 지역사회 안전망 확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 -찾아가는 이동형 안심버스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사업의 큰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청소년 및 지역주민에게 확대 실시하여 기존의 조기발굴사업의 기능 강화 및 지역주민의 중독예방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함. 3) 중독예방을 위한 특화된 IT기반의 프로그램 도입 및 서비스 영역 확대 -IT기술의 발전으 박O영 152,420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