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참여예산 사업추진현황

선정된 사업들의 추진 현황과 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 임의선택된 20개 사업만 보여집니다. 사업명 또는 제안자명으로 검색바랍니다.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교통 야간 자전거 안전운행을 위한 유도장비 모니터링 위탁용역 사업 자전거안전이용활성화 분야를 10여년이상 선도해온 전문자전거민간단체 주도로 서울도심 자전거도로 이용 경력 회원분들로 구성된 안전모니터링단을 통해 직접 자전거로 주행하며 기존의 야간 자전거 안전운행 유도를 위한 장비가 설치된 구간을 모니터한다. 야간 자전거 안전운행 유도를 위한 장비가 필요한 구간을 제안함으로써 기존 정책의 개선안을 자전거이용자 입장에서 제안한다. 시민자전거안전모니터링단을 통한 실질적인 시민참여 제안 용역위탁사업으로 1.2%에 머물고 있는 자전거교통수단분담률 10% 상승을 위한 생활교통수단으로써 자전거 이용활성화 안전환경 마련 우O일 10,000천원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약자와의 동행 3분과 시민 안전교육 강화 "어린이 안전체험관이 안전하지 않다! 어린이 안전체험관을 다시 안전하게!" 영·유아나 장애인이 안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서울시 소재 송파안전체험교육관이 안전하지 않음. 교육관 4층 항공안전관 체험 시 낙후된 의자로 인해 불안감 조성은 물론 교육받는 사람들의 안전까지 침해하는 문제 발생. 첫째, 의자 레자. 인조가죽의 수명은 2~4년 정도임. 교체되지 않고 벗겨진 의자 가죽으로 바지에 가루가 묻어 나올 정도임. 체험 시 손이 입으로 많이 가는 어린아이들의 특성상 레자가루 섭취 불안 발생. 둘째, 의자 등받이. ‘착석주의’ 표시로 의자 착석 시 불안감 증대. 의자 등받이가 심하게 덜렁거려 좌석에 앉은 사람이나 그 뒤에 앉는 사람의 불안감 증대. 의자 교체를 교육관 측에 여러 번 건의하였으나, 예산 불충분으로 교체 어려움 확인. 아동교육기관, 장애인 복지기관에서 편하게 방문하여 안전에 대해 교육도 받고 체험하는 교육의 장에서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낙후시설을 방치하는 것은 문제라고 판단됨. 시민의 교육 받을 권리 보장과 교육 공간의 안정성 증대 및 안전 문화가 꽃 피우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본 사업을 제안하는 바임. 김O연 22,000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