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참여예산 사업추진현황

선정된 사업들의 추진 현황과 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 임의선택된 20개 사업만 보여집니다. 사업명 또는 제안자명으로 검색바랍니다.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약자와의 동행 3분과 시민 안전교육 강화 "어린이 안전체험관이 안전하지 않다! 어린이 안전체험관을 다시 안전하게!" 영·유아나 장애인이 안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서울시 소재 송파안전체험교육관이 안전하지 않음. 교육관 4층 항공안전관 체험 시 낙후된 의자로 인해 불안감 조성은 물론 교육받는 사람들의 안전까지 침해하는 문제 발생. 첫째, 의자 레자. 인조가죽의 수명은 2~4년 정도임. 교체되지 않고 벗겨진 의자 가죽으로 바지에 가루가 묻어 나올 정도임. 체험 시 손이 입으로 많이 가는 어린아이들의 특성상 레자가루 섭취 불안 발생. 둘째, 의자 등받이. ‘착석주의’ 표시로 의자 착석 시 불안감 증대. 의자 등받이가 심하게 덜렁거려 좌석에 앉은 사람이나 그 뒤에 앉는 사람의 불안감 증대. 의자 교체를 교육관 측에 여러 번 건의하였으나, 예산 불충분으로 교체 어려움 확인. 아동교육기관, 장애인 복지기관에서 편하게 방문하여 안전에 대해 교육도 받고 체험하는 교육의 장에서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낙후시설을 방치하는 것은 문제라고 판단됨. 시민의 교육 받을 권리 보장과 교육 공간의 안정성 증대 및 안전 문화가 꽃 피우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본 사업을 제안하는 바임. 김O연 22,000천원
2024년 제안|기획제안형|약자와의 동행 1분과 청소년 복지향상을 위한 해외연수 운영 1.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을 슬로건과 시장 매니페스토로 공약하였으나 이를 위한 정책 부재 2. 청소년의 복지 향상 및 견문을 넓히기 위한 해외연수 제도가 부재함 ※ '23년 주민참여예산으로 진행된 건을 제외하면 운영실적 X 3. 사회적 약자(환자, 장애인, 청소년, 저소득층)는 해외연수의 부정적 인식과 어려운 처지인 사람들은 어렵게 살아야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예산편성 시 제외되는 경우가 多 결론 1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청년 해외진출 사업(외교부, 산자부, 고용부 등)과 한국의 ODA(공적개발-KOICA) 및 EDCF(대외경제협력기금-기재부&산업은행)을 위시하는 일자리 등 고품질 고효율 일자리 등은 해외사업에 치중되고 있음 결론 2 : 즉, 청소년기 해외연수를 통한 해외문화와 언어에 대한 학습효과를 통해 청소년의 미래일자리를 담보하고,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임 ○ 사업근거 ㅇ 청소년기본법 제29조 ㅇ 청소년활동진흥법 제53 및 제54조 ㅇ 서울시 청소년활동 진흥조례 제6조 및 제11조 조O진 외 1명 250,000천원